대한민국 체육부
"오늘의AI위키"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.
1. 개요
대한민국 체육부는 1982년 3월 20일 정부조직법 개정 및 체육부직제 제정을 근거로 신설되었다. 1991년 1월 31일 폐지되어 체육청소년부로 개편되기 전까지, 체육 행정을 담당했다. 감사담당관, 비상계획관, 공보관 등을 비롯하여 기획관리실, 국제체육국, 체육진흥국 등의 조직을 갖추었으며, 노태우, 이원경, 이영호 등 8명의 장관과 6명의 차관이 역임했다.
더 읽어볼만한 페이지
- 1991년 폐지 - 소련
소련은 1922년 결성되어 15개의 공화국으로 구성된 사회주의 연방 국가였으며, 2차 세계 대전 이후 미국과 함께 초강대국으로 부상했으나, 1991년 해체되었다. - 1991년 폐지 - 평화민주당
평화민주당은 김대중을 중심으로 1987년 창당되어 제1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제1야당으로 부상하였고, 민주화 운동과 사회 개혁을 추진하다가 신민주연합당으로 당명을 변경, 꼬마민주당과 합당하여 민주당으로 재편되었으며, 2010년 재창당되었으나 2012년 소멸된 정당이다. - 1982년 설립 - 케언스 그룹
케언즈 그룹은 1986년 설립된 농업 수출국 연합체로, WTO 등 다자간 무역 협상에서 개발도상국의 이익을 대변하고, 선진국의 농업 보조금 감축 및 농산물 시장 접근 확대를 통해 공정한 농업 무역 환경 조성을 목표로 한다. - 1982년 설립 - 마산종합운동장 야구장
마산종합운동장 야구장은 1982년 개장하여 롯데 자이언츠의 제2 홈구장과 NC 다이노스의 홈구장으로 사용되었으며, 리모델링을 거쳐 현재는 NC 다이노스 2군 홈구장 및 훈련장으로 사용되고, 과거 프로야구 전지훈련 장소로도 활용되었다. - 대한민국 문화체육관광부 - 한국문학번역원
한국문학번역원은 한국 문학의 세계화를 위해 번역 및 출판 지원, 국제 교류, 번역 교육, 정보 서비스 등의 사업을 수행하는 문화체육관광부 산하 기관이다. - 대한민국 문화체육관광부 - 국립중앙박물관
국립중앙박물관은 다양한 전시를 제공하며, 총 31만 점 이상의 소장품을 보유하고 있으며, 선사시대부터 현대까지의 한국사 및 아시아 문화재를 전시하고 있으며, 최첨단 시설을 갖춘 박물관입니다.
대한민국 체육부 - [정부기관]에 관한 문서 | |
---|---|
기본 정보 | |
국호 | 대한민국 (大韓民國) |
로마자 표기 | Daehan Minguk |
약칭 | 한국(韓國), দক্ষিণ কোরিয়া (남한) |
수도 | 서울 |
면적 | 100,432km² (107위) |
인구 | 51,628,117명 (2022년, 29위) |
인구 밀도 | 514명/km² |
공용어 | 한국어 |
종교 | 무종교 (56.1%), 개신교 (19.7%), 불교 (15.5%), 천주교 (7.9%) (2015년) |
정치 | |
정치 체제 | 대통령 중심제 공화국 |
대통령 | 윤석열 |
국무총리 | 한덕수 |
국회 의장 | 김진표 |
여당 | 국민의힘 |
야당 | 더불어민주당 |
국회 의석수 | 국민의힘: 113석 더불어민주당: 156석 정의당: 6석 시대전환: 1석 무소속: 4석 (총 300석) |
역사 | |
건국 | 기원전 2333년 (단군: 고조선) |
대한민국 건국 | 1948년 8월 15일 |
경제 | |
통화 | 원 (₩, KRW) |
기타 | |
국가 코드 | KR |
ISO 3166-1 | KR, KOR |
국가 도메인 | .kr |
전화 코드 | +82 |
2. 설치 근거 및 소관 업무
체육부의 설치 근거 및 소관 사무는 다음과 같다.[1][2]
법률 및 대통령령 | 내용 |
---|---|
정부조직법 [법률 제3540호, 1982.03.20 일부개정] | 제29조(문화공보부) ① 문화공보부장관은 문화·예술·언론·출판·보도·방송 및 국정에 관한 홍보에 관한 사무를 관장한다. ② (생 략) 제35조의2(체육부) ① 체육부장관은 체육에 관한 사무를 관장한다. ② 체육부에 차관 1인을 둔다. |
체육부직제 [대통령령 제10767호, 1982.03.20 제정] | 제1조(설치와 직무) 체육에 관한 사무를 관장하기 위하여 국무총리 소속하에 체육부를 둔다. |
3. 연혁
4. 조직
조직명 | 존속 기간 |
---|---|
감사담당관 | 1983년 6월 ~ 1991년 2월 |
비상계획관 | 1988년 6월 ~ 1991년 2월 |
공보관 | 1982년 3월 ~ 1991년 2월 |
기획관리실 | 1982년 3월 ~ 1991년 2월 |
국제체육국 | 1982년 3월 ~ 1991년 2월 |
청소년국 | 1988년 6월 ~ 1991년 2월 |
체육과학국 | 1982년 3월 ~ 1990년 2월 |
체육지도국 | 1990년 2월 ~ 1991년 2월 |
체육진흥국 | 1982년 3월 ~ 1991년 2월 |
총무과 | 1982년 3월 ~ 1991년 2월 |
5. 역대 장·차관
역대 체육부 장·차관은 다음과 같다.
=== 역대 체육부 장관 ===
정부 | 대수 | 이름 | 임기 | 출신지 | 출신학교 | 비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제5공화국 | 초대 | 노태우 | 1982년 3월 20일 ~ 1982년 4월 28일 | 대구광역시 동구 | 육군사관학교 | 제13대 대통령, 제2무임소 장관, 내무부 장관, 국가보위입법위원회 비상대책위원회 상임위원, 제12대 국회의원, 민주정의당 총재, 민주자유당 총재 |
2대 | 이원경 | 1982년 4월 28일 ~ 1983년 10월 15일 | 경주시 | 서울대학교 | 외무부 차관, 외무부 장관, 문화공보부 장관, 주 일본 대사, 한국통신회장, 한국외교협회장, 서울올림픽 조직위원회 사무총장 | |
3대 | 이영호 | 1983년 10월 15일 ~ 1986년 1월 8일 | 경북 의성 | 연세대학교, 미국 앰허스트대 | 이화여자대학교 교수, 체육부 차관, 서울올림픽 조직위원회 집행위원, 현대사회연구소장, 한국정책개발원장 | |
4대 | 박세직 | 1986년 1월 8일 ~ 1986년 8월 27일 | 구미시 | 서울대학교 | 서울특별시장, 국가안전기획부 제2차장, 국가안전기획부장, 총무처 장관, 제14·15대 국회의원, 재향군인회장, 서울올림픽 조직위원회 위원장 | |
5대 | 이세기 | 1986년 8월 27일 ~ 1987년 7월 14일 | 경기 개풍 | 고려대학교 | 국토통일원 장관, 제11·12·14·15대 국회의원, 국회 올림픽특별위원회 위원장 | |
6대 | 조상호 | 1987년 7월 14일 ~ 1988년 12월 4일 | 전남 담양 | 미국 조지아 대학교 | 제10대 국회의원, 대한체육회장, 서울올림픽 조직위원회 사무총장 | |
노태우 정부 | ||||||
7대 | 김집 | 1988년 12월 5일 ~ 1990년 3월 18일 | 경북 상주 | 경북대학교 | 제11·12대 국회의원 | |
8대 | 정동성 | 1990년 3월 19일 ~ 1990년 12월 26일 | 경기 여주 | 경희대학교 | 제10·11·12·13대 국회의원 |
=== 역대 체육부 차관 ===
정부 | 대수 | 이름 | 임기 | 출신지 | 출신학교 | 비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제5공화국 | 초대 | 이영호 | 1982년 3월 20일 ~ 1983년 10월 15일 | 경북 의성 | 연세대학교, 미국 앰허스트대 | 이화여자대학교 교수, 체육부 장관, 서울올림픽 조직위원회 집행위원, 현대사회연구소장, 한국정책개발원장 |
2대 | 정선호 | 1983년 10월 17일 ~ 1984년 10월 17일 | 충남 천안시 | 육군사관학교 | 제11대 국회의원, 제12대 국회의원 | |
3대 | 이재환 | 1984년 10월 17일 ~ 1985년 12월 18일 | 충남 대덕 (현 대전 대덕구) | 고려대학교 | 제11대 국회의원, 제14대 국회의원, 국회사무총장, 한국원자력문화재단 이사장 | |
4대 | 최일홍 | 1985년 12월 23일 ~ 1988년 12월 13일 | 경남 고성 | 고려대학교 | 체육부 기획관리실장, 한국건설기술표준원 회장 | |
노태우 정부 | ||||||
5대 | 김진원 | 1988년 12월 13일 ~ 1990년 3월 20일 | 경기 안성 | 경희대학교 | 서울특별시청 부시장 | |
6대 | 김용균 | 1990년 3월 20일 ~ 1990년 12월 26일 | 경남 합천 | 서울대학교 | 제16대 국회의원, 국회행정차장 |
5. 1. 역대 체육부 장관
정부 | 대수 | 이름 | 임기 | 출신지 | 출신학교 | 비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제5공화국 | 초대 | 노태우 | 1982년 3월 20일 ~ 1982년 4월 28일 | 대구광역시 동구 | 육군사관학교 | 제13대 대통령, 제2무임소 장관, 내무부 장관, 국가보위입법위원회 비상대책위원회 상임위원, 제12대 국회의원, 민주정의당 총재, 민주자유당 총재 |
2대 | 이원경 | 1982년 4월 28일 ~ 1983년 10월 15일 | 경주시 | 서울대학교 | 외무부 차관, 외무부 장관, 문화공보부 장관, 주 일본 대사, 한국통신회장, 한국외교협회장, 서울올림픽 조직위원회 사무총장 | |
3대 | 이영호 | 1983년 10월 15일 ~ 1986년 1월 8일 | 경북 의성 | 연세대학교, 미국 앰허스트대 | 이화여자대학교 교수, 체육부 차관, 서울올림픽 조직위원회 집행위원, 현대사회연구소장, 한국정책개발원장 | |
4대 | 박세직 | 1986년 1월 8일 ~ 1986년 8월 27일 | 구미시 | 서울대학교 | 서울특별시장, 국가안전기획부 제2차장, 국가안전기획부장, 총무처 장관, 제14·15대 국회의원, 재향군인회장, 서울올림픽 조직위원회 위원장 | |
5대 | 이세기 | 1986년 8월 27일 ~ 1987년 7월 14일 | 경기 개풍 | 고려대학교 | 국토통일원 장관, 제11·12·14·15대 국회의원, 국회 올림픽특별위원회 위원장 | |
6대 | 조상호 | 1987년 7월 14일 ~ 1988년 12월 4일 | 전남 담양 | 미국 조지아 대학교 | 제10대 국회의원, 대한체육회장, 서울올림픽 조직위원회 사무총장 | |
노태우 정부 | ||||||
7대 | 김집 | 1988년 12월 5일 ~ 1990년 3월 18일 | 경북 상주 | 경북대학교 | 제11·12대 국회의원 | |
8대 | 정동성 | 1990년 3월 19일 ~ 1990년 12월 26일 | 경기 여주 | 경희대학교 | 제10·11·12·13대 국회의원 |
5. 2. 역대 체육부 차관
미국 앰허스트대(현 대전 대덕구)